Каталог каналов Новое Каналы в закладках Мои каналы Поиск постов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нструменты
Мониторинг Новое Дета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Анализ аудитории Telegraph-статьи Бот аналитики
Полезная информация
Инструкция Telemetr Документация к API Чат Telemetr
Полезные сервисы
Защита от накрутки Создать своего бота Продать/Купить канал Монетизация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Телеграм канал «캬오의 공부방»

캬오의 공부방
4.5K
2.0K
752
748
23.6K
아이투자에서 캬오라는 필명으로 활동했고, 밸류스타에서 기획/운영으로 잠깐 일하다가 생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은 자료를 스크랩하기 위한 채널입니다. 열심이 할때도 있고 슬슬 할때도 있습니다. 비정기적 방학이 있습니다만, 채널은 닫지 않습니다. 댓글달아주시면 투자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인생고민도 상담해드립니다 :)
블로그:https://coconx.tistory.com
Подписчики
Всего
15 553
Сегодня
-1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Всего
2 106
ER
Общий
11.49%
Суточный
15.2%
Динамика публикаций
Telemetr - сервис глубокой аналитики
телеграм-каналов
Получите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о каждом канале
Отберите самые эффективные каналы для
рекламных размещений, по приросту подписчиков,
ER, количеству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и другим метрикам
Анализируйт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 креативы
Узнайте какие посты лучше сработали,
а какие хуже, даже если их давно удалили
Оценивайте эффективность тематики и контента
Узнайте, какую тематику лучше не рекламировать
на канале, а какая зайдет на ура
Попробовать бесплатно
Показано 7 из 4467 постов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
Пост от 09.10.2025 05:19
430
0
0
#지리산
Изображение
1
Пост от 09.10.2025 05:18
453
0
0
#화엄사
Изображение
1
Пост от 08.10.2025 05:55
2 013
0
1
#지리산
Изображение
👍 23
1
Пост от 07.10.2025 15:21
936
0
25
삼성·하이닉스, 소캠 시장 본격 진입…마이크론 독점 구도 흔들 엔비디아가 차세대 메모리 표준인 ‘소캠(SOCAMM)’을 채택, 해당 규격 기반 모듈 공급을 본격화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새롭게 시장에 진입. 엔비디아는 최근 메모리 3사에 내년 SOCAMM 규격 기반 모듈 물량 발주를 진행. 엔비디아가 올해 초 예정했던 SOCAMM 도입 계획을 철회하고 새로운 규격을 준비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기회가 돌아간 것으로 분석 https://m.etoday.co.kr/news/view/2509517
3
Пост от 07.10.2025 13:35
2 310
0
32
#개인적인생각 #반도체
Изображение
3
Пост от 07.10.2025 13:35
2 350
0
21
#우산 님 아무리 생각해도 정답은 결국 '모르겠다'일 수밖에 없으나 나의 생각을 말해보자면, '1) 없다면 조금이라도 채우자, 2) 너무 비중이 적다면 조금이라도 더 채우자'라는 결론이다. 비중 적고 높음에 대한 느낌은 본인의 확신의 강도에 따라 다를 것인데 이미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업황이 좋다는 것에는 확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의심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다만 아무리 주변을 돌아보고 알아보아도 현재 투자자들이 업황에 대해 확신하는 만큼 비중을 다 채운 것 같아 보이지는 않는다. 나부터도 그렇고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언제 얼마나 더 어떤 종목을 통해 반도체를 채워야할 지를 고민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조금이라도 빨리 비중을 조금 더 채우는 것이 나은 선택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차트를 보면 사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어떤 종목들은 이미 직전 사이클 이상으로 상승해 있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직전 사이클 고점 부근까지 상승해 있는 종목들이 대부분이다. 다만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 잘 모르지만 내가 한 가지 확실히 아는 것은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계속 과거보다 성장해왔던 산업이라는 점이다. 실제 메모리 반도체 산업 규모를 그려보면 부침이 있는 사이클에서도 YoY로는 늘 시장이 커져왔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사이클에 전 사이클의 전고점을 넘는 것은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니고 넘는 것이 오히려 당연하다는 생각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 사이클 차트와 비교하면서 너무 겁을 낼 필요는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언제 매도할 지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21년 코로나 이후 '언텍트'라는 이름으로 '메타버스'까지 확장되며 테크 업사이클이 강하게 왔을 때 뉴스를 돌이켜보면 구조적으로 세상이 변했고 반도체 쇼티지는 영원할 것처럼 모두가 말했었다. 하지만 결국 또 공급과잉이 왔고 섹터는 처참하게 꺾였다. AI는 당시 대비 훨씬 더 실체가 있으며 글로벌 대부분의 국가들이 '군비 경쟁'을 하듯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수요 가시성이 훨씬 더 높아 보이고 업사이클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늘 사이클이 꺾이는 것에 대해서는 고민을 해야할 것이다. 그런데 최소한 '지금'은 그런 걱정을 할 때는 아닌 것 같다.
Пост от 07.10.2025 13:34
1 206
0
43
반알못 투자자로서 최근 반도체 섹터 강세에 대한 소고 https://blog.naver.com/s1kkw/224034216729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