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аталог каналов Новое Каналы в закладках Мои каналы Поиск постов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нструменты
Мониторинг Новое Дета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Анализ аудитории Telegraph-статьи Бот аналитики
Полезная информация
Инструкция Telemetr Документация к API Чат Telemetr
Полезные сервисы
Защита от накрутки Создать своего бота Продать/Купить канал Монетизация

Не попадитесь на накрученные каналы! Узнайте, не накручивает ли канал просмотры или подписчиков Проверить канал на накрутку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Телеграм канал «[하나 Global ETF] 박승진»

[하나 Global ETF] 박승진
2.0K
0
1.3K
1.2K
0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주식분석실] 글로벌 ETF 애널리스트 박승진입니다. 국내외 금융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Подписчики
Всего
13 153
Сегодня
+3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Всего
3 114
ER
Общий
17.21%
Суточный
18.2%
Динамика публикаций
Telemetr - сервис глубокой аналитики
телеграм-каналов
Получите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о каждом канале
Отберите самые эффективные каналы для
рекламных размещений, по приросту подписчиков,
ER, количеству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и другим метрикам
Анализируйт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 креативы
Узнайте какие посты лучше сработали,
а какие хуже, даже если их давно удалили
Оценивайте эффективность тематики и контента
Узнайте, какую тематику лучше не рекламировать
на канале, а какая зайдет на ура
Попробовать бесплатно
Показано 7 из 1975 постов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
Пост от 19.11.2025 02:35
1
0
0
[하나 Global ETF Daily (11/19)] ▶️ 하나 Global ETF 박승진(T.3771-7761) ▶️ RA 전종훈(T.3771-3273)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주요 ETF Daily 수익률 (2025.11.18 종가 기준) » 주요 시장 ETF DIA -1.08% SPY -0.84% QQQ -1.22% IWM +0.31% » 주요 국채 ETF TLT -0.03% IEF +0.17% SHY +0.06% » 주요 섹터/테마 ETF 여행/레저(PEJ) +1.13% 에너지(XLE) +0.80% 부동산(IYR) +0.47% 🔹ETF News [Vettafi] 골드만삭스 ETF, 운용자산 500억달러 돌파 - https://buly.kr/4FtX2AK - 골드만삭스 ETF 라인업이 최근 운용자산(AUM) 500억달러를 잠시 넘어서는 이정표를 기록하며, ETF 시장에서 상위권 발행사 그룹에 근접한 규모로 성장 - 골드만삭스의 ETF 가운데 가장 큰 상품은 약 145억달러를 운용하는 GSLC(미국 대형주 액티브베타 ETF)로, 멀티팩터 지수(퀄리티·모멘텀·밸류·저변동성)를 추종하면서 보수는 0.09% 수준 - 다만 최근 몇 년간 AUM 증가폭이 가장 두드러진 상품은 초단기 미 재무부 채권 ETF GBIL로, 만기 1년 이내 미 국채에 투자하며 보수 0.12%, AUM은 약 65억달러 수준까지 늘었고, 최근 5년 수익률은 카테고리 평균을 상회 - 해외 주식 멀티팩터 전략인 GSIE는 보수 0.25%, AUM 47억달러 수준으로 세 번째로 큰 ETF이며, 2025년 외국 주식 강세장에 힘입어 연초 이후 20%대 후반 수익률과 5년간 16억달러의 자금 유입을 기록 - 전체적으로 골드만삭스 ETF들은 미국·해외 주식 멀티팩터와 초단기 채권을 축으로, 비교적 낮은 보수와 검증된 운용 프로세스를 앞세워 향후에도 투자자 관심을 이어갈 수 있는 라인업으로 평가됨 [Chief Investment Officer] SEC, Dimensional의 ETF 셰어 클래스 출시 승인 - https://buly.kr/G3EIkr5 - 미 SEC가 Dimensional Fund Advisors에 대해 하나의 펀드 구조 안에서 ETF와 뮤추얼펀드(공모펀드) 2가지 클래스(dual share class)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예외 승인을 내리면서, 기존에 사실상 유일하게 해당 구조를 갖고 있던 뱅가드에 이어 두 번째 사례가 됨 - 이번 승인으로 Dimensional은 액티브 전략까지 포함한 오픈엔드 펀드에서 ETF 클래스와 뮤추얼펀드 클래스를 함께 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23년 7월 첫 신청 이후 여러 차례 수정·심사를 거쳐 2025년 9월 이후 사실상 승인 방침이 정해졌으나, 미국 정부 셧다운으로 공식 승인 시점이 지연된 바 있음 - 업계에서는 “ETF 시대로 전환하면서도 기존 뮤추얼펀드·퇴직연금 고객을 유지해야 하는 운용사들에게 새로운 유통 채널과 전략 업그레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구조”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ICI(투자회사협회)도 그간 이중 클래스 구조 도입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온 입장 - 다만 DTCC는 현재 ETF–뮤추얼펀드 간 자동 전환 시스템이 부재한 만큼 초기에는 운영 복잡성과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2026년 상반기까지 Fund/SERV 플랫폼을 개선해 자동 전환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 일부 전문가는 이 구조가 세제 효율성과 운용 효율 측면에서 “혁신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도입 초기에는 수요가 완만하게 시작된 뒤 점진적으로 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퇴직연금 시장에서는 급여의 일정 비율(예: 5%)을 소수점 단위까지 투자해야 하는 구조상, 소수점 단위 매수가 가능한 뮤추얼펀드와 ETF를 한 펀드 안에서 병행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기적으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
Пост от 19.11.2025 02:34
1
0
0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데일리 뉴스] 11/19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가 앤스로픽에 총 150억 달러를 투자하며 AI 파트너십을 다각화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는 앤스로픽에 각각 최대 50억 달러와 100억 달러를 투자하여 총 150억 달러 규모의 협력을 체결함 -앤스로픽은 이번 계약의 일환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300억 달러 규모로 사용하기로 합의함 -이번 투자를 통해 앤스로픽의 기업 가치는 약 3,500억 달러로 평가받으며 오픈AI와의 경쟁에서 입지를 강화하게 됨 https://buly.kr/DPUw2a2 미국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의 AI 벤처 기업 'Humain'에 대한 최신 반도체 판매를 승인할 계획 -미국 정부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지원하는 AI 기업 Humain에 엔비디아 등 최신 AI 칩 판매를 허용할 예정 -Humain은 2026년까지 데이터 센터 가동을 목표로 엔비디아의 최신 칩 1만 8천 개 등을 도입해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임 https://buly.kr/8TriZlN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추적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돕는 '에이전트 365'를 공개 -마이크로소프트는 11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이그나이트 컨퍼런스에서 기업 내 AI 에이전트를 관리하는 새로운 플랫폼인 '에이전트 365'를 발표함 -이 도구는 AI 에이전트의 활동을 추적하고 승인하거나 중단할 수 있는 중앙 대시보드를 제공하여 보안 및 규정 준수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됨 https://buly.kr/4xYYxRs 아마존의 자율주행 자회사 죽스(Zoox)가 샌프란시스코에서 핸들과 페달이 없는 로보택시의 일반인 시범 운행을 시작 -죽스는 11월 18일부터 샌프란시스코의 SoMa, 미션 지구 등 일부 지역과 라스베이거스에서 대기자 명단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무료 탑승 기회를 제공 -이번 시범 운행은 상용화 전 기술 검증과 피드백 수집을 위한 '얼리 버너(Early Burner)'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됨 -죽스의 차량은 기존 자동차를 개조한 웨이모(Waymo)와 달리 운전석이 없는 대칭형 박스카 형태로 제작됨 https://buly.kr/5q8LrWt 구글의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Waymo)가 2026년 마이애미와 휴스턴 등 5개 도시로 완전 무인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발표 -웨이모는 마이애미, 올랜도, 휴스턴, 댈러스, 샌안토니오에서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 -이번 확장은 웨이모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초기에는 직원 대상 시범 운행을 거쳐 2026년에 일반인에게 개방될 계획 https://buly.kr/AllZKNF 구글이 역대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AI 모델 '제미나이 3'를 출시하며 새로운 코딩 앱과 벤치마크 신기록을 공개 -제미나이 3 프로는 LMArena 리더보드 1위를 달성하고 주요 벤치마크에서 경쟁 모델들을 앞서는 최고 점수를 기록함 -구글은 제미나이 3의 기능을 활용한 새로운 AI 기반 코딩 환경인 '구글 안티그래비티(Google Antigravity)'를 함께 선보임 -복잡한 추론에 특화된 상위 버전 '제미나이 3 딥 씽크'는 추가 안전성 테스트를 거쳐 추후 유료 구독자에게 제공될 예정 https://buly.kr/8phEXP2 메타가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와의 반독점 소송에서 승소하며 독점 기업이 아니라는 판결을 받음 -연방 법원은 메타가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인수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시장을 독점했다는 FTC의 주장을 기각 -이번 판결로 메타는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강제 매각해야 하는 위기에서 벗어나게 됨 https://buly.kr/ESzTvVk 테슬라, 애리조나서 차량 호출 허가 획득…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위한 '마지막 관문' 통과 -테슬라는 애리조나주 교통부로부터 '운송 네트워크 회사(TNC)' 허가를 받아 주 전역에서 상업용 차량 호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자격을 확보함 -이번 승인은 테슬라가 자체 앱 기반의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필요한 마지막 주요 규제 절차를 완료했음을 의미함 -단, 이번 허가가 곧바로 완전 무인 주행 서비스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초기에는 안전 운전자가 탑승한 형태로 운영될 것으로 보임 https://buly.kr/44ym3Ng 로블록스가 1월부터 채팅 기능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연령 인증을 의무화한다고 발표 -로블록스는 내년 1월부터 채팅과 같은 소셜 기능을 사용하려는 모든 이용자에게 안면 인식이나 신분증을 통한 연령 확인을 요구할 예정 -이번 조치는 미성년자 보호를 강화하고 봇 계정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연령대에 따라 채팅 상대를 제한하는 '연령 기반 채팅' 시스템도 함께 도입됨 https://buly.kr/4FtX2CT 클라우드플레어 서비스 장애로 트래픽 급증하며 X와 챗GPT 등 전 세계 주요 웹사이트 접속 중단 사태 발생 -지난 11월 18일 클라우드플레어의 네트워크 오류로 X와 챗GPT를 포함한 수천 개의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마비됨 -이번 사태의 원인은 트래픽 급증을 관리하는 구성 파일의 버그로 밝혀졌으며 현재는 문제가 해결되어 정상화됨 https://buly.kr/ESzTvWG 인튜이트가 오픈AI와 1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고 터보택스 등 자사 서비스에 챗GPT를 통합한다고 발표 -인튜이트는 오픈AI와 연간 1억 달러가 넘는 다년 계약을 체결하여 AI 모델을 자사 금융 플랫폼에 도입할 예정 -이번 파트너십으로 챗GPT 내에서 터보택스, 퀵북스, 크레딧 카르마 등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고 개인화된 재정 조언을 받을 수 있게 됨 https://buly.kr/6BxrpB5 클라르나(Klarna)가 AI 도입 성과에 힘입어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으나 주가는 하락세 기록 -클라르나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9억 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 -미국 시장 매출이 51% 급증하고 4개월 만에 400만 건의 카드 가입을 유치했으나 실적 발표 후 주가는 약 9% 하락 https://buly.kr/Chpu7Mi 워런 상원의원, 트럼프 가상자산 벤처의 북한·러시아·이란 연계 의혹에 대한 조사 착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과 스테이블코인 'USD1'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함 -이번 조사는 해당 플랫폼이 북한, 러시아, 이란 등 제재 대상 국가들의 자금 세탁 및 제재 회피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워런 의원은 대통령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가상자산 사업이 적국과 연계될 경우 심각한 국가 안보 위협과 이해 상충을 초래한다고 경고함 https://buly.kr/8TriZmu AI 데이터 센터 제공업체 람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수십억 달러 계약 후 15억 달러 규모 투자 유치 -람다(Lambda)는 토마스 툴(Thomas Tull)의 TWG 글로벌이 주도하는 시리즈 E 펀딩을 통해 15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함 -이번 투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수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공급하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직후 이루어짐 -람다는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기가와트(GW) 규모의 AI 데이터 센터를 확장하고 '초지능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임 https://buly.kr/Cq6TRi 허깅페이스 CEO, 현재 시장은 'AI 거품'이 아닌 'LLM 거품'이라고 진단 -허깅페이스의 클레망 들랑그 CEO는 현재의 투자 열풍이 AI 전반이 아닌 대규모언어모델(LLM)에만 집중된 'LLM 거품' 상태라고 분석함 -그는 내년에 LLM 거품이 꺼지면서 컴퓨터 비전이나 강화 학습 등 다른 AI 분야와 더 작고 전문화된 모델로 관심이 이동할 것이라고 전망함 https://buly.kr/3COz9Jj 칼시(Kalshi) CEO, 예측 시장이 수년 내 주식 시장과 경쟁할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 -타렉 만수르 CEO는 미래 사건에 베팅하는 예측 시장이 대중의 관심도가 높아 주식 시장만큼 커질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함 -그는 칼시의 시장 기반 모델이 전통적인 스포츠 도박보다 더 공정한 배당률을 제공하며, 최근 규제 승인으로 본격적인 확장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함 https://buly.kr/3COz9Jr
Пост от 18.11.2025 11:32
1
0
0
인공지능(AI) 전력원으로 차세대 소형 원전을 개발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기술 특허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소형모듈원전(SMR)과 초소형모듈원전(MMR),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등 전반에 걸쳐서다. SMR은 300㎿ 이하, MMR은 20㎿ 이하 미래형 원전을 말한다. 'AI 심장' 차세대 소형원전도 G2 패권 전쟁 - 美·中, 특허 선점경쟁 치열 - 미군, 초소형모듈원전 전략 육성 - '사고 제로' 용융염원자로 기술 - 美·中 기업·연구소가 특허 앞서 - 韓은 기술표준 설립 논의도 못해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212935?sid=101
Пост от 18.11.2025 11:26
1
0
0
10월부터 시작된 메모리 공급가 상승이 대만과 일본 등 아시아 주요 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대만에서는 DDR5 모듈 가격이 하루에도 두 번씩 변동할 정도로 시장이 과열되고, 일부 유통업체는 사재기 방지를 위해 메인보드 동반 구매를 요구하는 등 비상대책을 꺼내 들었다. 일본에서도 DDR5는 물론 DDR4 메모리 모듈까지 동반 상승세를 보인다. 일부 판매점은 구매 수량 제한 조치에 나섰지만 일부 실수요자에게는 불편을 더하고 있다. 그래픽카드 제조사 등 일부 업계에서는 연말연시에 그래픽카드 원가도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고성능 GDDR 메모리 역시 수급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이다. 메모리 가격 급등에 사재기...아시아 PC 시장 전방위 여파 - 사재기 차단 위해 메인보드 세트 판매·구매 제한까지 등장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98912?sid=105
Пост от 18.11.2025 11:11
1
0
0
» 강세장이 시작된 2022년 10월 이후의 나스닥100 지수 추이와 과거 버블 발생 시기의 자산가격 경로 비교
Пост от 18.11.2025 10:28
1
0
0
[Wedbush X HANA] 혁신 기술(Disruptive Technology): Nvidia 실적, AI 기술주의 상승 촉매제 연결 기대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7mCgPv3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Nvidia 실적, AI 기술주의 상승 촉매제 연결 기대 - Street Awaits Godfather of AI Jensen and Nvidia's Earnings: Expect Good News - ‘AI 버블’ 논란 가운데 분수령이 될 Nvidia의 실적 발표 - 빅테크의 Capex 투자와 Blackwell 수요가 이끄는 실적 모멘텀 - 초기 국면의 AI 수요 사이클. 과소평가된 Nvidia의 이익 레버리지 - 구조적인 AI Capex 슈퍼사이클 장세 - AI 승수 효과를 검증할 실적 이벤트. 기술주 전반의 상승 촉매제로 작용할 전망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Пост от 18.11.2025 09:48
1
0
0
[New K-ETF] 만기매칭 우량 회사채 26-11, 항셍테크 위클리 타겟커버드콜 ▶ 하나 Global ETF 박승진(T.3771-7761) ▶ 자료: https://buly.kr/DwFCjqZ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신규 상장 ETF(11/18): RISE 26-11 회사채(AA-이상) 액티브, PLUS 차이나 항셍테크 위클리 타겟 커버드콜 ◎ RISE 26-11 회사채(AA-이상) 액티브 ETF - 신용등급 AA- 이상의 우량 회사채들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만기매칭형 회사채 ETF. 약 1년 만기의 채권형 종목으로, 2026년 11월이 되면 상장 폐지와 함께 자금을 돌려받는 형태 - 비교지수는 특수채와 은행채, 기타금융채를 포함한 회사채 투자 유니버스 가운데 2026년 10월에서 12월 사이에 만기가 도래하는 AA- 등급 이상의 채권들(미상환 잔액 500억원↑)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비중 기준에 따라 편입 ◎ PLUS 차이나 항셍테크 위클리 타겟 커버드콜 ETF - 항셍테크 지수의 주식 포트폴리오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위클리 커버드콜 ETF. 중국 기술주 포지션을 구축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 수익을 확보하는 전략의 종목으로, 커버드콜 포지션에는 항셍테크지수의 ATM 콜옵션이 활용된다. 위클리 옵션을 활용하여 프리미엄 수익을 증가시키면서 지수에 대한 노출 비중을 더 높이는 구조 - 연 15% 배당 수익(포지션 구축 시점 기준)을 목표로 하는 타겟 커버드콜 전략의 ETF이며, 프리미엄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약 20%의 비중은 커버드콜 포지션에 할당되는 한편, 나머지 80%에 대해서는 지수 변동에 노출되는 형태의 포트폴리오 - 더불어 항셍테크 지수 옵션의 구조적 특성(틱 사이즈)으로 인하여, ATM에 가까운 콜옵션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일정 부분의 OTM 콜옵션 매도 포지션이 구축되고, 이를 통해 지수 상승 참여율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도 특징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