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데일리 뉴스] 11/19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가 앤스로픽에 총 150억 달러를 투자하며 AI 파트너십을 다각화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는 앤스로픽에 각각 최대 50억 달러와 100억 달러를 투자하여 총 150억 달러 규모의 협력을 체결함
-앤스로픽은 이번 계약의 일환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300억 달러 규모로 사용하기로 합의함
-이번 투자를 통해 앤스로픽의 기업 가치는 약 3,500억 달러로 평가받으며 오픈AI와의 경쟁에서 입지를 강화하게 됨
https://buly.kr/DPUw2a2
미국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의 AI 벤처 기업 'Humain'에 대한 최신 반도체 판매를 승인할 계획
-미국 정부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지원하는 AI 기업 Humain에 엔비디아 등 최신 AI 칩 판매를 허용할 예정
-Humain은 2026년까지 데이터 센터 가동을 목표로 엔비디아의 최신 칩 1만 8천 개 등을 도입해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임
https://buly.kr/8TriZlN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추적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돕는 '에이전트 365'를 공개
-마이크로소프트는 11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이그나이트 컨퍼런스에서 기업 내 AI 에이전트를 관리하는 새로운 플랫폼인 '에이전트 365'를 발표함
-이 도구는 AI 에이전트의 활동을 추적하고 승인하거나 중단할 수 있는 중앙 대시보드를 제공하여 보안 및 규정 준수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됨
https://buly.kr/4xYYxRs
아마존의 자율주행 자회사 죽스(Zoox)가 샌프란시스코에서 핸들과 페달이 없는 로보택시의 일반인 시범 운행을 시작
-죽스는 11월 18일부터 샌프란시스코의 SoMa, 미션 지구 등 일부 지역과 라스베이거스에서 대기자 명단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무료 탑승 기회를 제공
-이번 시범 운행은 상용화 전 기술 검증과 피드백 수집을 위한 '얼리 버너(Early Burner)'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됨
-죽스의 차량은 기존 자동차를 개조한 웨이모(Waymo)와 달리 운전석이 없는 대칭형 박스카 형태로 제작됨
https://buly.kr/5q8LrWt
구글의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Waymo)가 2026년 마이애미와 휴스턴 등 5개 도시로 완전 무인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발표
-웨이모는 마이애미, 올랜도, 휴스턴, 댈러스, 샌안토니오에서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
-이번 확장은 웨이모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초기에는 직원 대상 시범 운행을 거쳐 2026년에 일반인에게 개방될 계획
https://buly.kr/AllZKNF
구글이 역대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AI 모델 '제미나이 3'를 출시하며 새로운 코딩 앱과 벤치마크 신기록을 공개
-제미나이 3 프로는 LMArena 리더보드 1위를 달성하고 주요 벤치마크에서 경쟁 모델들을 앞서는 최고 점수를 기록함
-구글은 제미나이 3의 기능을 활용한 새로운 AI 기반 코딩 환경인 '구글 안티그래비티(Google Antigravity)'를 함께 선보임
-복잡한 추론에 특화된 상위 버전 '제미나이 3 딥 씽크'는 추가 안전성 테스트를 거쳐 추후 유료 구독자에게 제공될 예정
https://buly.kr/8phEXP2
메타가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와의 반독점 소송에서 승소하며 독점 기업이 아니라는 판결을 받음
-연방 법원은 메타가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인수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시장을 독점했다는 FTC의 주장을 기각
-이번 판결로 메타는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강제 매각해야 하는 위기에서 벗어나게 됨
https://buly.kr/ESzTvVk
테슬라, 애리조나서 차량 호출 허가 획득…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위한 '마지막 관문' 통과
-테슬라는 애리조나주 교통부로부터 '운송 네트워크 회사(TNC)' 허가를 받아 주 전역에서 상업용 차량 호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자격을 확보함
-이번 승인은 테슬라가 자체 앱 기반의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필요한 마지막 주요 규제 절차를 완료했음을 의미함
-단, 이번 허가가 곧바로 완전 무인 주행 서비스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초기에는 안전 운전자가 탑승한 형태로 운영될 것으로 보임
https://buly.kr/44ym3Ng
로블록스가 1월부터 채팅 기능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연령 인증을 의무화한다고 발표
-로블록스는 내년 1월부터 채팅과 같은 소셜 기능을 사용하려는 모든 이용자에게 안면 인식이나 신분증을 통한 연령 확인을 요구할 예정
-이번 조치는 미성년자 보호를 강화하고 봇 계정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연령대에 따라 채팅 상대를 제한하는 '연령 기반 채팅' 시스템도 함께 도입됨
https://buly.kr/4FtX2CT
클라우드플레어 서비스 장애로 트래픽 급증하며 X와 챗GPT 등 전 세계 주요 웹사이트 접속 중단 사태 발생
-지난 11월 18일 클라우드플레어의 네트워크 오류로 X와 챗GPT를 포함한 수천 개의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마비됨
-이번 사태의 원인은 트래픽 급증을 관리하는 구성 파일의 버그로 밝혀졌으며 현재는 문제가 해결되어 정상화됨
https://buly.kr/ESzTvWG
인튜이트가 오픈AI와 1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고 터보택스 등 자사 서비스에 챗GPT를 통합한다고 발표
-인튜이트는 오픈AI와 연간 1억 달러가 넘는 다년 계약을 체결하여 AI 모델을 자사 금융 플랫폼에 도입할 예정
-이번 파트너십으로 챗GPT 내에서 터보택스, 퀵북스, 크레딧 카르마 등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고 개인화된 재정 조언을 받을 수 있게 됨
https://buly.kr/6BxrpB5
클라르나(Klarna)가 AI 도입 성과에 힘입어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으나 주가는 하락세 기록
-클라르나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9억 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
-미국 시장 매출이 51% 급증하고 4개월 만에 400만 건의 카드 가입을 유치했으나 실적 발표 후 주가는 약 9% 하락
https://buly.kr/Chpu7Mi
워런 상원의원, 트럼프 가상자산 벤처의 북한·러시아·이란 연계 의혹에 대한 조사 착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과 스테이블코인 'USD1'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함
-이번 조사는 해당 플랫폼이 북한, 러시아, 이란 등 제재 대상 국가들의 자금 세탁 및 제재 회피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워런 의원은 대통령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가상자산 사업이 적국과 연계될 경우 심각한 국가 안보 위협과 이해 상충을 초래한다고 경고함
https://buly.kr/8TriZmu
AI 데이터 센터 제공업체 람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수십억 달러 계약 후 15억 달러 규모 투자 유치
-람다(Lambda)는 토마스 툴(Thomas Tull)의 TWG 글로벌이 주도하는 시리즈 E 펀딩을 통해 15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함
-이번 투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수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공급하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직후 이루어짐
-람다는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기가와트(GW) 규모의 AI 데이터 센터를 확장하고 '초지능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임
https://buly.kr/Cq6TRi
허깅페이스 CEO, 현재 시장은 'AI 거품'이 아닌 'LLM 거품'이라고 진단
-허깅페이스의 클레망 들랑그 CEO는 현재의 투자 열풍이 AI 전반이 아닌 대규모언어모델(LLM)에만 집중된 'LLM 거품' 상태라고 분석함
-그는 내년에 LLM 거품이 꺼지면서 컴퓨터 비전이나 강화 학습 등 다른 AI 분야와 더 작고 전문화된 모델로 관심이 이동할 것이라고 전망함
https://buly.kr/3COz9Jj
칼시(Kalshi) CEO, 예측 시장이 수년 내 주식 시장과 경쟁할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
-타렉 만수르 CEO는 미래 사건에 베팅하는 예측 시장이 대중의 관심도가 높아 주식 시장만큼 커질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함
-그는 칼시의 시장 기반 모델이 전통적인 스포츠 도박보다 더 공정한 배당률을 제공하며, 최근 규제 승인으로 본격적인 확장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함
https://buly.kr/3COz9J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