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аталог каналов Новое Каналы в закладках Мои каналы Поиск постов
Инструменты
Мониторинг Новое Дета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Анализ аудитории Telegraph-статьи Бот аналитики
Полезная информация
Инструкция Telemetr Документация к API Чат Telemetr
Полезные сервисы
Защита от накрутки Создать своего бота Продать/Купить канал Монетизация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Телеграм канал «[하나 Global ETF] 박승진»

[하나 Global ETF] 박승진
2.0K
0
1.3K
1.2K
0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주식분석실] 글로벌 ETF 애널리스트 박승진입니다. 국내외 금융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Подписчики
Всего
12 104
Сегодня
+4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Всего
2 272
ER
Общий
19.23%
Суточный
15.8%
Динамика публикаций
Telemetr - сервис глубокой аналитики
телеграм-каналов
Получите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о каждом канале
Отберите самые эффективные каналы для
рекламных размещений, по приросту подписчиков,
ER, количеству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и другим метрикам
Анализируйт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 креативы
Узнайте какие посты лучше сработали,
а какие хуже, даже если их давно удалили
Оценивайте эффективность тематики и контента
Узнайте, какую тематику лучше не рекламировать
на канале, а какая зайдет на ура
Попробовать бесплатно
Показано 7 из 1975 постов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
Пост от 18.09.2025 02:45
1
0
0
하나증권 중국기업분석 [중국 Spot News] ▶알리바바(9988.HK): 자사 AI 칩 H20에 필적하는 수준 9/17 마윈의 경영 복귀설 확산, 알리바바는 공영방송 CCTV에서 자사 ASIC PPU가 엔비디아 H20에 필적하는 수준이라고 밝힘. 해당 칩은 알리바바 반도체 계 부문인 T-Head에서 개발했고, 96GB 메모리와 AI 반도체 전용으로 설계된 적층형 DRAM인 HBM2e를 탑재한 PPU AI 칩. 관련 소식으로 전일 알리바바 H주 주가 +5% 강세 앤트그룹이 지원하는 로보택시 기업 Hello에 투자, 투자 금액은 공개하지 않음. 최근 Hello는 로봇1 차량을 출시한 바 있고 바이두 아폴로고, 포니.ai, 위라이드 등 기업과 경쟁 중. 양측은 알고리즘 플랫폼 및 스마트 드라이빙, 대형 언어 모델 분야에서 협력할 것. ▶차이나유니콤(762.HK): 국산 AI 칩 기반 데이터센터 건설, 알리바바가 72% 공급 9/17 차이나유니콤은 알리바바를 포함한 국산 AI 칩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데이터 센터 건설한 것으로 보도. 중국은 자국 기업에게 보안상 이유로 미국 엔비디아 칩 사용을 자제하고 국산 칩으로 대체할 것을 권유 중. 이번에 보도된 차이나유니콤 데이터 센터는 칭하이성에 위치하며 완공 시, 2만 petaflops의 컴퓨팅 능력을 갖추게됨. 현재까지 해당 센터는 2.3만개의 국산 AI 칩을 사용해 3,579 petaflops를 구축했다고 밝힘. 사용한 칩 중 72%는 알리바바 T-head의 칩이며 나머지는 MetaX, Biren Tech, Zhonghao Xinying 등 기업에서 공급. 향후 Tecorigin, Moore Threads, Enflame 등으로부터 추가로 칩을 조달할 계획이라 밝힘. ▶화웨이(비상장): 2035년까지 글로벌 컴퓨팅 역량 10만배 증가 예상 화웨이는 향후 10년간 AGI(범용 인공지능) 개발에 낙관적으로 전망. AGI는 인간과 유사한 수준으로 광범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 2035년까지 글로벌 컴퓨팅 역량이 10만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텐센트(700.HK): 위챗페이, 알리페이 국경간 결제 시스템 도입 9/17 텐센트의 위챗페이와 알리바바의 알리페이는 외국인의 현금 없는 결제를 지원하기 위해 국경 간 결제 시스템 도입. 중앙은행 부행장 루레이는 해당 시스템이 7월 말 시범 운영을 시작해 지난 주 기준 약 200만건 거래 처리, 거래 규모는 6천만USD에 해당한다고 밝힘. 알리페이에 따르면 현재 7개의 국제 은행카드와 12개 지역의 31개 모바일 지갑을 지원.
Пост от 18.09.2025 02:18
1
0
0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데일리 뉴스] 9/18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이재은 영국 AI 스타트업 NScale, 엔비디아 CEO 젠슨 황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영국 스타트업 NScale이 엔비디아 CEO 젠슨 황으로부터 기술력에 대한 극찬을 받음 -NScale은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AI 모델 학습을 가속화하는 기술을 개발 https://buly.kr/3COcfyP 테슬라, 안전 조사에 따라 차량 도어 핸들 재설계 -테슬라가 외부 안전 조사에 따라 도어 핸들을 재설계하기로 결정 -이번 결정은 차량 충돌 시 문이 열리지 않아 탑승자가 갇힐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임 https://buly.kr/CWumfDP StubHub,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 거래 시작 -티켓팅 플랫폼 StubHub가 티커 'STUB'으로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 -주당 25.35달러로 거래를 시작했으며, 이는 IPO 가격인 24달러를 상회 https://buly.kr/3NJNenO 아마존, 판매자를 위한 AI 에이전트 개발 -아마존이 판매자들의 업무를 돕는 AI 에이전트를 개발 중 -이 에이전트는 판매자가 제품 목록 작성, 재고 관리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 https://buly.kr/3YE8dcC 워크데이, 행동주의 투자자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투자 소식에 주가 상승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워크데이의 주가가 행동주의 투자자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지분 확보 소식으로 상승 -엘리엇은 워크데이의 경영진과 만나 비즈니스 전략 및 성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 https://buly.kr/HHdF9Fw 줌, 최신 업데이트를 통해 AI 기능 및 아바타 도입 -줌이 새로운 업데이트를 통해 AI 기반 회의록 작성 기능과 AI 아바타 등을 선보임 -이 기능들은 회의 내용을 요약하고 사용자가 카메라 없이도 회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 https://buly.kr/3u3ebG3 구글, '디스커버' 페이지 전면 개편으로 크리에이터 콘텐츠 강화 -구글이 '디스커버' 페이지를 개편하여 인플루언서와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전면에 배치 -이는 사용자에게 더욱 개인화되고 다양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 https://buly.kr/EoodPqF 아마존 CEO, 스타트업처럼 민첩한 조직을 위해 관료주의 타파 -아마존 CEO 앤디 재시가 회사를 스타트업처럼 만들기 위해 관료주의를 제거하겠다고 밝힘 -이는 인원 감축과 내부 프로세스 간소화를 통해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함 https://buly.kr/HHdF9Gl 워렌 상원의원, 데이비드 삭스 트럼프 AI 책임자 임기 초과 근무에 대한 우려 제기 -엘리자베스 워렌 상원의원이 트럼프 정부의 AI 총괄 책임자인 데이비드 삭스의 임기가 초과된 것에 대해 비판 -그는 삭스가 공식 임기 이후에도 직을 유지하며 이해 충돌 가능성이 있는 활동을 한다는 점을 지적 https://buly.kr/FWTfL7A 티켓 플랫폼 StubHub, IPO 앞두고 '올인 가격' 정책 발표 -StubHub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티켓 가격에 수수료와 세금을 모두 포함하는 '올인 가격(all-in pricing)' 정책을 도입 -이는 숨겨진 추가 비용으로 인한 소비자 불만을 줄이고 시장 투명성을 높이기 위함 https://buly.kr/3COcg0l 웨이모와 리프트, 내슈빌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협력 발표 -자율주행 기술 기업 웨이모와 차량 공유 서비스 리프트가 내슈빌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공동으로 제공 -이번 파트너십은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이동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https://buly.kr/90bd2w7 페리스코프 공동 창업자 케이븐 베이크푸어, 코드 추적 스타트업 매크로스코프에 4천만 달러 투자 유치 -트위터 인수 후 해체된 페리스코프의 공동 창업자 케이븐 베이크푸어가 매크로스코프를 설립 -매크로스코프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복잡한 코드를 쉽게 이해하고 추적하도록 돕는 도구 https://buly.kr/GvnjBei Airbuds, 음악을 공유하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로 주목 -Airbuds는 사용자들이 듣는 음악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소셜 앱 -애플 뮤직과 스포티파이 같은 기존 플랫폼이 제공하지 못했던 소셜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음 https://buly.kr/BTQEmMu OpenAI, 챗GPT의 실제 사용자 행동을 분석한 첫 연구 결과 발표 -이번 연구는 챗GPT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됨 -연구 결과, 사용자들은 챗GPT를 '글쓰기 보조', '개인 교사', '정보 탐색' 등의 용도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https://buly.kr/6MsGKiF
Пост от 18.09.2025 01:58
1
0
0
하나증권 Economist 전규연 (T.3771-8196) [Global Macro Alert] 9월 FOMC: 점도표와 기자회견의 미스매칭 ▶https://bit.ly/4grnWrQ ▶9월 FOMC는 예상대로 25bp 인하. 마이런 이사는 빅컷 지지하며 반대표 행사 미 연준은 9월 FOMC에서 정책금리 목표 범위를 4.00%~4.25%로 25bp 인하했다. 이는 9개월 만의 첫 인하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였다. 투표권자 12명 중 11명은 25bp 인하에 동의했으나, 쿠글러의 후임으로 연준 이사로 인준된 마이런 이사(임기 ~26년 1월)는 50bp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행사했다. 9월 성명서는 고용시장의 하방 위험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수정됐다. 기존의 “이중책무의 양쪽의 위험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는 표현에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한다”는 문구가 추가됐다.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문구는 “일자리 증가가 느려졌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다”는 표현으로 수정됐다. 물가는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에서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여전히 다소 높다”로 바뀌며 “상승했다”는 문구가 추가됐다. ▶올해 추가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한 25년 점도표, 내년은 비교적 장밋빛 9월 경제전망은 내년도 물가가 상향 조정됐지만, 성장률과 실업률 전망이 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25년 성장률은 1.4%→1.6%로 높였고, 26, 27년 성장률도 각각 1.8%, 1.9%로 지난 분기에서 +0.2%p, +0.1%p씩 상향 조정했다. 올해 실업률 전망치는 4.5%로 유지했고, 26, 27년 실업률은 각각 4.4%, 4.3%로 기존 전망보다 -0.1%p씩 하향 조정했다. 한편 26년 헤드라인 및 근원 PCE 물가 전망은 2.4%→2.6%로 높였는데 25년과 27년의 물가 경로는 수정하지 않음으로써 관세 비용의 소비자 전가 시기가 지연되고 있는 점, 그리고 관세 발 물가 상승이 일시적일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했다. 점도표 중간값은 25년 3.6%, 26년 3.4%, 27년 3.1%로 제시해 올해 두 번의 추가 금리 인하가 단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만 26~27년 성장 회복 방향성에 발맞춰 26년과 27년 금리 인하는 각각 한 번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점도표에서 올해 0~2회 인하를 지지하는 위원들이 9명, 3회 이상 인하를 지지하는 위원들이 10명으로 양분되며 위원들 간 이견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특징적이었다. ▶보험성 인하라고 선을 긋는 파월. 올해 추가 2회, 내년 1회 인하로 전망 경로 수정 파월 의장은 고용시장의 하강 위험 증가를 반영해 금리를 인하했고, 현재 미국 경기 상황이 나쁘지 않다며 금번 인하를 “리스크 관리 차원의 인하(a risk management cut)”라고 표현했다. 50bp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전혀 없었다며 급격한 금리 인하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을 견지했다. 다만 고용과 물가의 위험 균형을 고려해 긴축→중립으로의 스탠스 변화가 유효하다고 언급했는데, 중립금리(3.0%)와의 갭을 고려하면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파월의 입김이 임기 종료(26년 5월)를 앞두고 약해지고 있는 점, 연준의 독립성 훼손 우려 등도 금리 인하 속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미 연준이 올해 10월, 12월에 25bp씩 금리 인하를 단행하고 내년에 1회 인하로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전망한다.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_Macro
Пост от 18.09.2025 01:31
1
0
0
» 9월 FOMC의 점도표와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되어 있는 예상 정책 경로 » FOMC 점도표(중간값, 초록색선)의 2026년과 2027년 경로가 시장 예상보다 높은 위치에 자리 » 연준 인사들의 의견 괴리가 확대되면서 점도표의 분포가 위 아래로 크게 벌어져있는 모습
Изображение
Пост от 18.09.2025 01:00
410
0
7
»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한 이유를 보여준 마이런 연준 이사. 7명의 이사진 가운데 혼자 50bp 인하 주장 » 보우먼 부의장과 월러 이사도 금번 회의에서는 25bp 인하 의견 제시
Изображение
Пост от 18.09.2025 00:57
1
0
0
» 파월 의장은 고용시장 하강 위험을 반영하여 금리인하를 결정했으며, 현재 미국 경제 상황은 나쁘지 않다고 평가 » 노동 시장의 위험 때문에 금리 인하를 결정했으며,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올해와 내년에 걸쳐 누적될 것이라고 전망 » 더불어 관세의 물가 영향은 상품 가격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상은 미미하며, 주로 중간 공급망에서 비용이 흡수되고 있다고 진단 » 연준의 독립성 우려에 대해서는 '어떤 것에도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은 채 우리가 할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이번 회의에서 0.50%포인트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없었다고 설명 美연준의장 "금리인하, 고용시장 하강위험 반영…경제 안나빠" - 관세비용 소비자 전가 아직 미미…인플레 영향 올해·내년 누적될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632935?sid=104
Пост от 17.09.2025 18:19
1
0
0
🔹 미국 주요 IB 애널리스트 투자 의견 요약 [9월 17일 기준] 🟩 신규/상향 (Initiation / Upgrade) 1. Netflix (NFLX) – Hold → Buy | Loop • 3Q 뛰어난 시청 참여도 및 4Q 강력한 콘텐츠 라인업 • 콘텐츠당 수익 창출력 상승 → 마진•FCF 상향 2. Ormat Technologies (ORA) – Neutral → Overweight | Piper Sandler • 재생에너지 지열 선도 기업, 석유•가스 산업 지원 속 성장 가능성 • 업계 ‘셰일 혁명’과 유사한 구조적 기회 전망 3. Workday (WDAY) – Hold → Buy | Guggenheim • HR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기업, 개선된 사업 구조 • 대형 프로젝트 부진에도 운영 효율성 강화 4. Kroger (KR) – Neutral → Buy | Roth • 소비 위축 환경 속에서도 채널 수혜 및 단위 판매 회복 기대 • 물가•비용절감 효과로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 5. Mastec (MTZ) – Peer Perform → Outperform | Wolfe • 데이터센터 및 유틸리티 CapEx 수혜주 • 가스 인프라 인플렉션 포인트 진입 전망 6. Zillow (Z) – Market Perform → Outperform | Bernstein • 온라인 부동산 플랫폼, 펀더멘털 매력 부각 • 밸류에이션•타이밍 부담 완화 7. AbbVie (ABBV) – Hold → Buy | Berenberg • 고한자리수 성장, 톱티어 R&D, 강력한 FCF • 목표가 $270 → 약 25% 업사이드 🟨 기존 의견 유지 + 목표가 변경 (Reiterate / PT Change) 1. Apple (AAPL) – Overweight 유지 | Morgan Stanley • iPhone 17 리드타임 YoY 상승, 공급 개선 → 수요 견조 확인 2. Nvidia (NVDA) – Outperform 유지 / PT $165 → $205 | Daiwa • 글로벌 AI 채택 확산, 여전히 저평가 인식 • CEO Jensen Huang의 글로벌 활동 강조 3. McDonald’s (MCD) – Buy 유지 / PT $373 → $381 | Citi • 음료•리모델링•점포 확대 등 차세대 성장동력 부각 • 경쟁사 점유율 하락으로 추가 수혜 기대 4. Micron (MU) – Outperform 유지 / PT $160 → $180 | Wolfe • 메모리 사이클 회복세, AI 수요 다중 수혜 5. Disney (DIS) – Outperform 유지 | Bernstein • 글로벌 Disney+ 침투율 10~20%로 낮음 → 현지화 콘텐츠 투자 필요 • Netflix 모델과 유사한 성장 경로 제시 6. Walmart (WMT) – Buy 유지 / PT $120 → $125 | Bank of America • 온•오프라인 가격 동일성 → 소비자 가치 강화 • 경기 불확실성 속 방어적 매력 7. Nike (NKE) – Buy 유지 | Bank of America • 매출 개선 + 재고 정상화 진행 확인 시 회복세 본격화 전망 🟥 하향 (Downgrade) 1. Progressive (PGR) – Outperform → Market Perform | BMO • 매출 감소 추세 지속, 경쟁 심화 부담 • S&P500 대비 21% 저평가에도 회복 자신감 부족 2. FedEx (FDX) – Outperform → In Line | Evercore ISI • 수요 둔화 지속으로 EPS 리스크 확대 • 목표가 $249 → $243 하향 3. Eli Lilly (LLY) – Buy → Hold | Berenberg • 비만 시장 성장 모멘텀 둔화, 컨센서스 과열 • 여전히 시장 리더지만 업사이드 제한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