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оиск по каналам Каналы в закладках Мои каналы Поиск постов
Инструменты
Мониторинг упоминаний Дета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Анализ аудитории Telegraph-статьи Бот аналитики
Полезная информация
Инструкция Telemetr Документация к API Чат Telemetr
Полезные сервисы
Защита от накрутки Создать своего бота Продать/Купить канал Монетизация

Телеграм канал «[하나 Global ETF] 박승진»

[하나 Global ETF] 박승진
2.1K
0
1.8K
1.7K
0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주식분석실] 글로벌 ETF 애널리스트 박승진입니다. 국내외 금융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Подписчики
Всего
10 687
Сегодня
+3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Всего
3 033
ER
Общий
22.97%
Суточный
21%
Динамика публикаций
Telemetr - сервис глубокой аналитики
телеграм-каналов
Получите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о каждом канале
Отберите самые эффективные каналы для
рекламных размещений, по приросту подписчиков,
ER, количеству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и другим метрикам
Анализируйт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 креативы
Узнайте какие посты лучше сработали,
а какие хуже, даже если их давно удалили
Оценивайте эффективность тематики и контента
Узнайте, какую тематику лучше не рекламировать
на канале, а какая зайдет на ура
Попробовать бесплатно
Показано 7 из 2096 постов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
Пост от 04.07.2025 03:50
1
0
0
[주요 IB들의 미국 6월 고용보고서 관련 코멘트(한국은행)] ▪️BofA: 고용보고서는 실업률 하락, 3개월 평균 고용자수 15만명 증가, 직전 2개월 취업자수 상향조정(+1.6만명) 등 대체로 견조한 수치였음. 다만 민간부문 고용 증가 둔화세가 이어지고 주로 지방정부 부문 주도로 취업자수가 증가한 점, 노동시간이 감소했음에도 임금상승률은 축소됨에 따라 가계소득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는 점은 유의할 필요. 견조한 美 경제 및 노동시장 상황 속에서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의 긴급성은 낮아보임 ▪️JP Morgan: 총 고용이 증가하고 실업률은 하락한 점, 최근 흐름과 달리 직전 취업자수 증가폭이 상향된 점 등 금일 데이터는 좋은 소식임에는 분명함. 다만 민간 취업자수 증가는 7.4만명에 그친 가운데 경제활동참여율이 하락하고 노동시간이 감소한 것은 우려스러운 요인임. 양호한 노동시장 하에서 연준은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 ▪️Morgan Stanley: 금일 고용보고서는 7월 금리인하는 없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줌. 관세發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및 양호한 노동시장 조합은 연내 동결 가능성을 강화. 경제는 둔화되고 있지만 이민정책의 효과로 실업률이 급등하지는 못할 것. 고용률은 둔화되고 있지만 해고가 빠르게 가속화되고 있다는 징후가 거의 없음 ▪️Goldman Sachs: 시장은 헤드라인 숫자에 크게 반응했지만 금일 취업자수 증가폭 예상치 상회는 민간부문이 아닌 상당부분 지방정부 부문에 의해 주도되었음을 주지할 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것은 사실이며, 향후 연준은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보다는 관세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속에서도 디스인플레이션 흐름이 이어질지 여부에 보다 주목할 것 ▪️Barclays: 직전 2개월 취업자수 증가폭 상향조정으로 3개월 평균 취업자수가 15만명 증가했다는 점은 고무적임. 다만 금번 취업자 증가의 상당 부분이 정부부문에서 발생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며 DOGE 때문에 보류했던 고용을 동 부처의 동력 상실(일론 머스크 퇴장 등) 이후 재추진했음을 시사. 정부부문 고용 증가폭 확대는 지속 가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거둬서는 안될 것 ▪️Wells Fargo: 금일 고용지표는 대체로 견조했으며 고용지표와 함께 발표된 실업수당청구건수가 감소한 점도 긍정적이었음. 다만 세부내용을 보면 고용 증가가 주로 지속 가능하지 않은 정부부문에 기인했다는 점, 실업률 하락은 노동시장을 떠난 근로자의 영향*이 컸다는 점 등 고무적이지 않은 부분이 존재했음. 금일 지표를 감안시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으면 연준은 9월 회의부터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 경제활동참가율은 22.12월 이후 최저치 ▪️Nomura: 전반적으로 금일 보고서는 연준의 금리인하 재개 관련 인내심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양호한 수준이었음. 다만 정부부문 고용 증가에 대해서는 큰 의미를 두어서는 안 되며 민간부문 취업자 증가가 교육‧의료(+5.1만명), 여가‧음식숙박(+2.0만명) 등 단 두 부문에만 집중되었다는 사실도 염두에 둘 필요 ▪️WSJ: 최근 두 명의 인사가 조기 인하(7월 회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으나, 금일 보고서 결과는 연준은 여름동안 관망세를 보이며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높혔음. 연준의 정책 결정에 대한 정부의 이례적인 압박 속에서도 파월 의장은 최근 발언(ECB 포럼)에서 지표 의존성을 강조함에 따라 금일 양호한 고용지표는 연준의 관망 모드(wait-and-see stance)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
Пост от 04.07.2025 03:49
1
0
0
» 한국은행에서 정리한 미국 6월 고용보고서(7/3 발표) 내용과 글로벌 IB 코멘트 자료입니다. » 시장은 고용지표를 전반적으로 견조한 결과로 평가했으며, 특히 실업률 하락과 직전치 상향 조정 등을 근거로 미국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고용 증가의 상당 부분이 지속 가능성이 낮은 정부부문에서 발생했고, 실업률 하락은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에 따른 왜곡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고용시장 둔화 가능성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었습니다.
Видео/гифка
Пост от 04.07.2025 03:30
1
0
0
[중국 Spot News] ▶스테이블코인: 중국 빅테크 기업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요청 7/3 징동과 알리바바 계열사 앤트그룹은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중앙은행이 승인해줄 것을 요청 중. 이는 미국 달러 연동 암호화폐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함. 현재 이 두 기업은 홍콩에서 역외 위안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위안화의 글로벌 사용을 촉진하고 디지털 달러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할 수 있다고 제안. ▶알리바바(BABA.US): 운영 자금 마련으로 120억HKD 교환 사채 발행 알리바바는 자사 클라우드 사업과 해외 전자상거래 운영 자금 마련을 위해 120억 홍콩달러 규모의 교환사채 발행할 계획. 이는 2032년 7월 만기, 알리헬스 주식으로 전환 가능. ▶소비: 하반기 중국 아이폰 판매 부진 예상 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하반기 중국 아이폰 판매는 부진할 것으로 전망. 중국 소비 부진, 아이폰16 노후화, 아이폰17 업그레이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점이 원인. 또한, 화웨이를 포함한 중국 경쟁사들이 고급 스마트폰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 중인 점도 영향을 끼칠 것. 2Q25 중국 아이폰 매출은 YoY +8% 증가, 이는 618 쇼핑페스티벌 판촉효과에 기인. 최근 애플 제품이 중국 이구환신 보조금에 참여했음에도 판매는 예상보다 부진한 상황. ▶바이트댄스(비상장): 미국 틱톡샵 매출 부진, 직원 감원 미국 지역 틱톡은 전자상거래 부문인 틱톡샵의 직원 감원, 추가로 중국과 연계된 관리자로 교체하는 작업도 진행. 틱톡샵 미국 부문은 지난 1년간 매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함에 따라 최근 연속적인 구조 조정 진행.
Пост от 04.07.2025 01:53
1
0
0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데일리 뉴스] 7/4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 CoreWeave가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Blackwell Ultra를 최초로 상용화 -CoreWeave는 델이 제작한 엔비디아 GB300 NVL72 AI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이는 72개의 Blackwell Ultra GPU와 36개의 Grace CPU로 구성된 액체 냉각 시스템 -엔비디아는 Blackwell Ultra가 이전 모델 대비 50배 더 많은 AI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고 주장 https://buly.kr/9tAyOQV 구글이 Veo 3 비디오 모델을 159개국 이상에서 출시 -Veo 3는 구글 AI Pro 플랜 유료 구독자만 이용 가능하며, 하루 3개 비디오 생성으로 제한됨 -텍스트 프롬프트를 사용해 최대 8초 길이의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음 https://buly.kr/58SVuP3 메타가 사용자 참여를 높이기 위해 AI 챗봇이 먼저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을 테스트 중 -메타의 AI 챗봇은 사용자가 14일 이내에 최소 5번 대화를 시작한 경우에만 후속 메시지를 보내도록 설계됨 -이 챗봇은 메타의 AI 스튜디오에서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에서 공유 가능함 https://buly.kr/6ihKjkS 메타가 AI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의 전 CEO 다니엘 그로스를 새로운 AI 초지능 연구소에 영입 -그로스는 메타의 초지능 그룹에서 AI 제품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며, 메타는 인간 수준을 초월하는 AI 기술 개발을 위해 전문가 채용을 확대 중 https://buly.kr/5q7Xpfj SAP CEO 크리스티안 클라인이 유럽은 AI 경쟁을 위해 데이터센터 추가보다 응용 AI에 집중해야 한다고 발언 -클라인은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의 유럽 내 데이터센터 확장 주장에 반대하며, 유럽의 AI 발전에 데이터센터 증설이 필수적이지 않다고 강조함 https://buly.kr/4Fsj0Khte 미국이 중국에 대한 칩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을 철회했다고 시놉시스가 발표 -시놉시스는 중국에서 최근 제한되었던 제품에 대한 접근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힘 -이는 중국이 지난주 미국과의 무역 휴전 협상에서 진전을 보이고 희토류 및 첨단 기술 교류를 재개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조치 https://buly.kr/AwfWHKv 세가가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성장을 모색하며 일본 시장 의존도를 낮추려 함 -세가 사장 우츠미 슈지가 국내 시장과 콘솔 플레이어 중심에서 벗어나 글로벌 확장을 추진 중이라고 밝힘 -세가는 모바일 게임 강화를 위해 2023년 앵그리 버드 제작사 로비오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함 https://buly.kr/1uXSl9 중국 최대 검색 엔진 바이두가 검색 플랫폼에 AI 기능을 대폭 강화하며 경쟁사에 대응 -사용자는 이제 검색창에 1000자 이상 입력하고, 음성, 이미지, 파일로 질문하며, AI 챗봇 기능을 통합해 사진, 텍스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음 https://buly.kr/DaOszaK AI 음성 생성 스타트업 ElevenLabs가 글로벌 확장을 추진하며 5년 내 IPO 준비를 계획 -최근 1.8억 달러 펀딩으로 33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으며 안드레센 호로위츠, 세쿼이아 캐피털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함 https://buly.kr/HSXYZXG xAI가 멤피스 데이터센터에서 15개의 천연가스 터빈 운영 허가를 획득 -해당 지역 보건부는 15개의 Solar SMT-130 발전기를 운영해 최대 247MW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허가함 https://buly.kr/7x6dbUC 일리아 수츠케버가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의 CEO로 취임하며 AI 스타트업을 이끌 계획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였던 다니엘 그로스가 6월 29일 회사를 떠났다고 발표함 -메타가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 인수 시도를 했으나, 수츠케버는 독립성을 유지하며 안전한 초지능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밝힘 https://buly.kr/Chp65W5 에너지 효율적인 반도체 제조사 앰비크 마이크로가 미국 IPO를 신청 -앰비크 마이크로는 AI 컴퓨팅의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저전력 칩을 개발하며, 피트니스 트래커와 농작물 모니터링 등에 사용됨 -최근 분기 1570만 달러 매출에 830만 달러 순손실을 기록 https://buly.kr/7FRbgEN
Пост от 04.07.2025 01:37
1
0
0
»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과정에서 시가총액도 55.7조달러 규모까지 증가
Изображение
Пост от 04.07.2025 01:23
1
0
0
하나증권 Economist 전규연 (T.3771-8196) [FX Spotlight] 7월 단기 환율 전망과 향후 방향성 ▶https://bit.ly/3I9AeYQ ▶물가보다 먼저 나빠지기 시작한 미국 경제, 연준의 금리 인하 당위성 높여 당초 예상했던 관세 발 미국 물가 상승보다 경제가 먼저 나빠지기 시작하면서 미 연준의 금리 인하 당위성을 높이고 있다. 그간 민간심리 부진에도 불구하고 견조했던 하드데이터에서 둔화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5월 개인소비가 전월비 -0.1%로 감소했는데, 서비스업 소비는 서서히 둔화되는 반면 관세 영향이 큰 상품 소비는 큰 폭(-0.8%)으로 감소했다. 산업생산도 2월 이후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 물론 4~6월 재무부 관세 수입이 3월 대비 130% 이상 늘어났고, 수입물가 중 연료 제외 산업재 물가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어 관세로 인한 소비자물가 상승은 시기의 문제일 뿐 결국 가시화될 것이라고 판단하나, 경기 둔화가 물가 상승보다 먼저 나타나고 있어 트럼프 정부의 금리 인하 압박이 거세질 수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감, 그리고 미국 경기 둔화는 하반기 미 달러 약세를 지지하는 요인이다. ▶국내 경기 저점에 대한 인식도 외환시장에 반영될 필요 한편 외국인 자금 유입과 국내 경기 저점 인식은 원화 평가절상을 유도한다. 장기화된 내수 부진, 관세 발 대외부문 타격 등 국내 경제의 취약 요소들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지만, 추경 등 정책 기대감, 예상보다 제한된 수출 둔화 폭이 국내 경기의 완만한 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경기선행지수도 상승 추세다. 실물지표 반등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외환시장은 하반기 경기 회복을 먼저 반영할 수 있다. 국내 증시 아웃퍼폼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수급 여건도 변화하고 있다. 그간 달러-원 환율은 내국인 해외투자, 특히 개인들의 해외주식 투자 영향으로 1,350원 내외에서 지지선이 강하게 형성되었는데, 6월 이후 외국인 국내 주식 순매수세가 강화되면서 내국인 해외투자와 외국인 국내투자 간 수급 싸움이 다소 팽팽해졌다. 이는 하반기 달러-원 환율의 지지선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7월 무역협상 전후 변동성은 불가피하나 달러-원 환율 하락 방향성은 유효 물론 단기적으로는 관세 유예 종료 시점을 앞두고 트럼프 정부가 각국과의 무역협상 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변동성 국면이 불가피할 것이다. 특히 한-미 무역협상은 디지털 규제 등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며 실무 협상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악재 부각 시 이를 단기에 크게 반영할 확률도 상존한다. 다만 이는 일시적일 것이며, 무역분쟁이 최악의 국면을 지나갔다면 결국 외환시장은 펀더멘털을 반영할 공산이 크다. 글로벌 미 달러 약세와 한국 경제의 저점 인식, 외환시장 수급 개선 등을 감안할 때 하반기 달러-원 환율의 하락 방향성은 유효하다는 판단이다. 하나증권은 달러-원 환율이 3Q 1,360원 – 4Q 1,340원(분기 평균) 내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_Macro
Пост от 04.07.2025 01:22
1
0
0
트럼프 "아마도 4일부터 관세율 적은 서한을 각국에 보낼 것" -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만료 앞두고 각국에 '합의' 압박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487339?sid=104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