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аталог каналов Новое Каналы в закладках Мои каналы Поиск постов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нструменты
Мониторинг Новое Дета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Анализ аудитории Telegraph-статьи Бот аналитики
Полезная информация
Инструкция Telemetr Документация к API Чат Telemetr
Полезные сервисы
Защита от накрутки Создать своего бота Продать/Купить канал Монетизация

Не попадитесь на накрученные каналы! Узнайте, не накручивает ли канал просмотры или подписчиков Проверить канал на накрутку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Телеграм канал «[하나 Global ETF] 박승진»

[하나 Global ETF] 박승진
1.8K
0
1.3K
1.2K
0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주식분석실] 글로벌 ETF 애널리스트 박승진입니다. 국내외 금융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Подписчики
Всего
13 229
Сегодня
0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Всего
3 486
ER
Общий
22.57%
Суточный
26.3%
Динамика публикаций
Telemetr - сервис глубокой аналитики
телеграм-каналов
Получите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о каждом канале
Отберите самые эффективные каналы для
рекламных размещений, по приросту подписчиков,
ER, количеству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и другим метрикам
Анализируйт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 креативы
Узнайте какие посты лучше сработали,
а какие хуже, даже если их давно удалили
Оценивайте эффективность тематики и контента
Узнайте, какую тематику лучше не рекламировать
на канале, а какая зайдет на ура
Попробовать бесплатно
Показано 7 из 1837 постов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
Пост от 21.11.2025 02:40
1
0
0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데일리 뉴스] 11/21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최근 실적 발표에서 AI 버블 우려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우리는 매우 다른 현실을 보고 있다"고 강조 -젠슨 황은 AI 투자가 거품이라는 지적에 대해 가속 컴퓨팅과 생성형 AI 등 3가지 구조적 변화가 인프라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함 -차세대 칩 블랙웰의 수요가 "믿기 힘들 정도"라며 2026년까지 5천억 달러 규모의 수주가 확보되었다고 덧붙임 https://buly.kr/Aaqp4Sl 미국 법무부가 엔비디아의 첨단 반도체 칩을 중국으로 밀반출한 혐의로 4명을 기소 -미국 법무부는 엔비디아와 HP의 첨단 기술 제품을 중국으로 불법 유출한 혐의로 중국인 3명과 미국인 1명을 기소함 -이들은 미국의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유령 회사를 세우고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경유해 제품을 배송한 것으로 드러남 -검찰은 이들이 수백 개의 칩을 밀수하는 대가로 부당한 이득을 챙겼으며 수출법 위반을 모의했다고 밝힘 https://buly.kr/1GKf5E8 구글이 제미나이 3 모델을 기반으로 성능이 대폭 향상된 AI 이미지 생성기 '나노 바나나 프로'를 출시 -나노 바나나 프로는 텍스트 렌더링 정확도와 다국어 지원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최대 4K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 -사용자는 조명이나 카메라 앵글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구글 검색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이미지 생성에 반영할 수 있음 https://buly.kr/90c0F7o 구글의 AI 어시스턴트 제미나이가 안드로이드 오토에 전 세계적으로 도입되기 시작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운전자들은 '제미나이 라이브' 기능을 활용해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며 복잡한 질문이나 일정 관리 등을 음성으로 처리할 수 있음 -제미나이는 기존 구글 어시스턴트를 대체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45개 언어를 지원하고 전 세계 2억 5천만 대 이상의 차량에서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해질 예정임 https://buly.kr/Eop0c39 유튜브가 앱 내에서 동영상을 공유하고 대화할 수 있는 비공개 메시지 기능을 다시 테스트하기 시작 -유튜브는 2019년에 중단했던 앱 내 직접 메시지(DM) 기능을 아일랜드와 폴란드의 18세 이상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시 시험 중임 -이 기능은 사용자가 '공유' 버튼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하고 별도의 앱 이동 없이 유튜브 내에서 대화를 이어갈 수 있게 함 -이는 사용자가 링크 공유를 위해 다른 메신저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플랫폼 내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됨 https://buly.kr/Eop0c3G 웨이모가 미니애폴리스, 탬파, 뉴올리언스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확대를 위한 수동 주행 테스트를 시작 -웨이모는 2026년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해당 도시에서 인간이 운전하는 차량으로 도로 데이터 매핑과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 -미니애폴리스에서는 겨울철 혹한기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고, 각 도시의 교통 패턴과 도로 특성을 학습하여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 https://buly.kr/FhOnW8J 구글 최신 픽셀폰, 아이폰의 '에어드롭'과 직접 파일 공유 기능 지원 시작 -구글은 픽셀 10 시리즈부터 자사의 '퀵 쉐어' 기능을 통해 아이폰 사용자와 별도의 앱 없이 사진 및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고 발표함 -이 기능은 애플과의 공식 협업이 아닌 독자적인 기술로 구현되었으며, 아이폰의 에어드롭 설정을 '모든 사람'으로 변경하면 상호 전송이 가능함 https://buly.kr/1RFQ43R 이튼의 CFO 교체는 우려할 신호가 아니며 팰로알토 네트웍스는 33억 달러 규모의 인수를 발표 -이튼은 CFO 올리비에 레오네티의 2026년 사임이 계획된 승계 절차임을 강조하며 2025년 연간 실적 전망을 재확인함 https://buly.kr/8IwyJsD 스포티파이가 경쟁 플랫폼의 재생 목록을 앱 내에서 직접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 -스포티파이는 'TuneMyMusic'과 통합하여 애플 뮤직, 유튜브 뮤직 등 다른 서비스의 재생 목록을 쉽게 가져올 수 있는 기능을 제공 -이 기능은 사용자가 타 플랫폼에서 스포티파이로 이동할 때 겪는 불편함을 줄이고 사용자 확보를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임 https://buly.kr/E79ygnW 포드의 핵심 알루미늄 공급처인 노벨리스 공장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해 생산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짐 -뉴욕 오스위고에 위치한 노벨리스 공장에서 목요일 또다시 화재가 발생했는데 이는 최근 몇 달 사이 세 번째 사고임 -해당 공장은 포드의 주력 차종인 F-150 및 F-150 라이트닝 생산에 필요한 알루미늄 시트를 공급하는 핵심 시설임 -지난 9월 화재로 이미 포드가 연간 이익 전망을 하향 조정한 바 있어 이번 사고로 인한 추가적인 타격이 예상됨 https://buly.kr/7x7SMFJ 조비 에비에이션, 경쟁사 아처가 전 직원을 통해 훔친 기밀로 부동산 파트너십을 가로챘다며 기업 스파이 혐의로 소송 제기  -조비는 전 직원이 퇴사 직전 기밀 파일을 개인 이메일로 유출한 뒤 아처로 이직해 이를 부동산 개발업체와의 계약 따내기에 악용했다고 주장  -유출된 정보에는 인프라 전략 및 부지 분석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아처가 이를 이용해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조비의 독점 계약이 파기되었다고 설명함  https://buly.kr/BeLMxNh 위키피디아가 AI로 작성된 글을 식별하는 가장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위키피디아 편집자들은 'AI 글쓰기 징후(Signs of AI writing)’라는 가이드를 통해 자동 감지 도구보다 더 정확하게 기계가 쓴 글을 식별하는 방법을 공유함 -AI는 '중요한 순간(pivotal moments)’이나 '풍부한 역사(rich history)’ 같은 모호한 강조 표현을 남발하고 '숨 막히는(breathtaking)’ 등의 홍보성 형용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또한 문장 길이가 기계적으로 일정하거나 '~를 강조하며(underscoring)’ 같은 현재분사 구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등 특정한 문체적 패턴을 보임 https://buly.kr/DlKSjAv 블루오리진이 '새턴 V'(Saturn V)보다 더 거대한 '뉴 글렌'(New Glenn) 로켓의 '초대형'(super heavy) 버전을 공개 -새로 공개된 '뉴 글렌 9x4'(New Glenn 9x4) 모델은 1단에 9개, 2단에 4개의 엔진을 장착해 지구 저궤도에 70톤 이상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음 -이 로켓은 역사상 가장 큰 로켓 중 하나인 '새턴 V'(Saturn V)보다 더 높게 설계되었으며 스페이스X의 스타십과 경쟁하여 달 탐사 및 대형 위성군 배치에 활용될 예정임 https://buly.kr/9iH2APh 퍼플렉시티가 AI 기반 웹 브라우저 '코멧(Comet)'을 안드로이드에 출시하고 곧 iOS 버전도 선보일 예정 -코멧은 기존 검색 엔진과 달리 브라우징 중 AI 답변을 바로 제공하고 열려 있는 탭의 내용을 요약해주는 등의 기능을 갖춤 -안드로이드 버전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음성 모드와 광고 차단 기능도 포함되어 있음 https://buly.kr/FsJYUy8
Пост от 21.11.2025 02:40
1
0
0
하나증권 중국기업분석 [중국 Spot News] ▶핀둬둬(PDD.US): 씨티/다이와 목표가 상향 11/19 씨티증권 핀둬둬 목표가 167USD에서 170USD로 상향. 11/19 다이와증권 핀둬둬 목표가 145USD에서 160USD로 상향. 핀둬둬가 투자 확대를 지속하더라도 Temu의 손실 축소와 국내 사업의 비용 관리가 연간 순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2026년 수익성 개선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 ▶바이두(BIDU.US): BoA/노무라 목표가 상향 BoA 바이두 매수의견 유지, ADR 목표가 100USD에서 151USD로 상향, H주 목표가 98HKD에서 148HKD로 상향. 노무라증권 바이두 투자의견 매수로 상향, 목표가 135USD에서 140USD로 상향. 광고 사업은 부진하나 자체 설계 반도체 쿤룬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 2025/26년 쿤룬칩 매출이 26억위안/43억위안에 이를 것으로 추정. 이는 캠브리콘 매출의 약 45% 수준. ▶콰이쇼우(1024.HK): 다이와/Jefferies 목표가 상향 다이와 증권은 콰이쇼우 목표가 85HKD에서 95HKD로 상향. Jefferies는 콰이쇼우 목표가 106HKD로 상향.
Пост от 21.11.2025 02:40
1
0
0
하나증권 중국기업분석 [중국 Spot News] ▶Pony AI(2026.HK): 11/19 Sany Truck 및 Dongfeng Liuzhou Motor와 MOU 체결. 양사와 BEV 플랫폼 기반으로 4세대 자율주행 트럭의 제조 및 양산 분야에서 협력 계획이며 26년 테스트 운영 개시를 목표로 함. ▶니오(9866.HK): 11/19 LatePost 보도에 따르면 자사 자체 개발 고성능 스마트 주행 칩 ‘Shenji NX9031(5nm 공정 기반, 실효 연산능력은 NVIDIA Orin-X 칩의 약 4배 수준)’의 외부 기관 공급을 개시. ▶화웨이(비상장): 둥펑자동차와 화웨이가 공동 개발한 새로운 자동차 브랜드는 이징(奕境)으로 확정됐으며, 첫 번째 모델은 2026년 4월 베이징 모터쇼에서 공개될 예정. 이후 매년 1개 신차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설명.
Пост от 20.11.2025 15:21
41
0
5
🔸Walmart (WMT) 3분기 실적(Q3’26) 🔹매출(Revenue): 1,795억 달러 🟢 - 예상: 1,774억 5,000만 달러 - 전년대비 +5.8% 🔹조정 EPS: 0.62달러 🟢 - 예상: 0.60달러 - 전년대비 +6.9% 🔹미국 동일점포매출: +4.5% 🟢 - 예상: +3.8% 🔸가이던스(FY’26 Guide) 🔹조정 EPS: 2.58~2.63달러 - 예상: 2.61달러 🟡 🔹순매출 성장(Net Sales Growth, cc): +4.8%~+5.1% 🟢 - 종전: +3.75%~+4.75% 🔹조정 영업이익 성장(Adj Operating Income, cc): +4.8%~+5.5% 🔹Capex: 순매출의 약 3.5% 🔸부문별 매출(Segment Performance) 🔹Global eCommerce: 전년대비 +27% 🔹Global Advertising: 전년대비 +53% 🔹Walmart U.S. Net Sales: 1,207억 달러 - 전년대비 +5.1% 🔹Walmart International Net Sales: 335억 달러 - 전년대비 +10.8% 🔹Sam’s Club U.S. Net Sales: 236억 달러 - 전년대비 +3.1% 🔸기타 재무 지표(Other Metrics) 🔹총마진율(Gross Margin Rate): 24.2% - 전년대비 +2bps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67억 달러 🔴 - 전년대비 -0.2% 🔹조정 영업이익(Adj Operating Income, cc): 전년대비 +8.0% 🔹영업현금흐름(YTD OCF): 275억 달러 - 전년대비 +45억 달러 🔹잉여현금흐름(YTD FCF): 88억 달러 - 전년대비 +26억 달러 🔹재고(Inventory): 654억 달러 - 전년대비 +3.2% 🔸자본환원(Capital Return) 🔹자사주 매입: 8억 달러(790만 주) 🔹배당금: 19억 달러 🔹잔여 자사주 매입 한도: 51억 달러 🔸경영진 코멘트 🔹CEO Doug McMillon: “시장 점유율 확대, 배송 속도 개선, 재고 관리 모두 긍정적이며 eCommerce는 다시 한번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각” 🔹CFO: “관세 부담이 실제로 커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분기 내내 선택적으로 지출하며 할인 상품을 선호하는 흐름이 지속” 🔹Walmart는 12월 9일부로 NYSE에서 Nasdaq으로 상장 이전할 예정이며, 이는 55년 만의 변화라고 발표 🔸내용 정리 » Walmart는 매출·EPS 모두 시장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견고한 미국 내 소비 기반과 eCommerce 성장이 실적을 견인 » eCommerce(+27%), 광고(+53%)는 구조적 성장세를 유지하며 마진 개선에도 기여 » International 매출 성장률(+10.8%)이 미국보다 높아 글로벌 사업 확장이 긍정적 » 다만 영업이익은 일시적 비용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조정 기준으로는 +8% 증가 » 관세 부담 및 소비자 선택적 소비가 지속되고 있으나, Walmart는 가격 경쟁력 기반 점유율 확대 추세 » Nasdaq 이전은 성장 중심 테크·리테일 이미지 강화의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 가능
Пост от 20.11.2025 14:38
1
0
0
[Nvidia] 주요 IB들의 목표가 조정 및 투자의견 🔸[Evercore ISI]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61 → $352 🔸[Melius Research]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300 → $320 🔸[KGI]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70 → $296 🔸[Baird]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25 → $275 🔸[Barclays] 투자의견: Overweight    - 목표가 상향: $240 → $275 🔸[Bernstein]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25 → $275 🔸[Citi]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20 → $270 🔸[BNP]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50 → $260 🔸[JPMorgan] 투자의견: Overweight    - 목표가 상향: $215 → $250 🔸[Stifel]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유지: $250 🔸[KeyBanc] 투자의견: Overweight    - 목표가 상향: $230 → $250 🔸[Wolfe]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30 → $250 🔸[Jefferies]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30 → $250 🔸[GoldmanSachs]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30 → $250 🔸[Rosenblatt]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40 → $250 🔸[Mizuho]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35 → $245 🔸[William Blair]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유지: $245 🔸[CITIC]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37 → $242 🔸[Deutsche Bank]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180 → $240 🔸[Morningstar]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설정: $240 🔸[Haitong] 투자의견: Buy    - 목표가 상향: $225 → $238.5 🔸[Morgan Stanley] 투자의견: Overweight    - 목표가 상향: $220 → $235 🔸[Wedbush] 투자의견: Outperform    - 목표가 상향: $210 → $230 🔹목표가 중간값(Median)    » 현재: $250 (⬆️ $20)    » 기존: $230 🔹목표가 최고치(Highest)    » Now: $352 (⬆️ $52)    » Previously: $300 🔹목표가 최저치(Lowest)    » 현재: $230 (⬆️ $50)    » 기존: $180
Пост от 20.11.2025 11:53
1
0
0
◈하나증권 글로벌투자분석◈ 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팔로알토(PANW.US): 생각보다 더 큰 그림, 설득력 있는 이유 ▶ 자료: https://buly.kr/58TKRa5 ◆ 1Q26 실적 기대치 상회, M&A 이슈로 주가 하락 -1분기 주요 지표 예상치 상회, 2분기 가이던스 시장대비 상회폭 비수기 계절성 고려하면 양호 -실적 발표 직후 주가 하락은 옵저버빌리티 기업 Chronosphere 인수 발표 때문 -1)AI 시대 옵저버빌리티 수요 급증, 2) 보안 상품과 결합으로 문제 인식에서 해결까지 자동화하는 시장 선점, 3) 기존 벤더 대비 3배 저렴한 비용과 확장성을 가진 Chronosphere 높은 성장 잠재력, 4) AI 데이터센터 시장 내 팔로알토 침투율 높일 수 있는 기회 ◆ 플랫폼화 성공적으로 순항, 차세대 보안 주요 제품 모멘텀 강세 확인 -플랫폼화 전체 계약수 YoY 30%, 계약 규모 대형화 -SASE 사업 ARR은 34% 증가, 13억 달러 돌파, XSIAM 고객사 수는 150% 이상 증가 ◆ 과감한 전략을 통한 성공 여러 번 입증,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 -인수가(33.5억 달러, ARR 대비 21배) 상당한 프리미엄 반영 & 연이은 M&A가 수익성 지표에 미칠 부담에 대한 우려는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정적 요인 -두 건의 인수 반영해도 FY26년 FCF마진 최소 37% 유지 예상, FY30년 NGS ARR 목표치 200억 달러로 상향조정 -팔로알토 경영진 예상치 못한 획기적인 결정과 전략적 변화로 성공적인 확장 여러 번 입증 -아이덴티티 보안까지 포함한 통합 플랫폼이면서 AI 데이터 옵저버빌리티 & 보안 결합은 각각의 영역 내 다른 사업자 대비 확실한 차별성 요인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Пост от 20.11.2025 10:45
1
0
0
🔹미국 9월 고용보고서 컨센서스 현황       [블룸버그 기준] - 한국시간으로 밤 10시30분 발표    (미국 현지 오전 8시30분 기준) - 비농업 고용자수: +5.1만명(8월: +2.2만명) - 실업률: 4.3%(8월: 4.3%) - 경제활동참가율: 62.3%(8월: 62.3%) -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    YoY +3.7%(8월: +3.7%)    MoM +0.3%(8월: +0.3%) - 평균 주간근로시간: 34.2시간(8월: 34.2시간) » 비농업 고용자수는 8월보다 소폭 증가한 5.1만명으로 예상 중. 실업률을 비롯한 대부분의 항목은 8월과 비슷한 수준에 컨센서스 형성 ※ 상기 차트의 9월 데이터는 Bloomberg 컨센서스 반영 기준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