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аталог каналов Новое Каналы в закладках Мои каналы Поиск постов
Инструменты
Мониторинг упоминаний Дета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Анализ аудитории Telegraph-статьи Бот аналитики
Полезная информация
Инструкция Telemetr Документация к API Чат Telemetr
Полезные сервисы
Защита от накрутки Создать своего бота Продать/Купить канал Монетизация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Прикрепить Телеграм-аккаунт

Телеграм канал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603
0
240
237
105
유진투자증권 대체투자분석팀 리서치 자료와 뉴스를 제공합니다.

*담당 애널리스트
황성현(화학/정유/유틸리티/배터리)
권해순(바이오/제약)
류태환(건설/부동산)
양승윤(로봇/기계/운송)
이유진(철강/금속)
김진우(음식료/농산물)
이다빈(RA)
임범수(RA)
Подписчики
Всего
4 643
Сегодня
0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Всего
1 203
ER
Общий
28.5%
Суточный
45.5%
Динамика публикаций
Telemetr - сервис глубокой аналитики
телеграм-каналов
Получите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о каждом канале
Отберите самые эффективные каналы для
рекламных размещений, по приросту подписчиков,
ER, количеству просмотров на пост и другим метрикам
Анализируйт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и креативы
Узнайте какие посты лучше сработали,
а какие хуже, даже если их давно удалили
Оценивайте эффективность тематики и контента
Узнайте, какую тематику лучше не рекламировать
на канале, а какая зайдет на ура
Попробовать бесплатно
Показано 7 из 603 постов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
Пост от 08.09.2025 07:13
450
0
9
▫️티웨이항공 → 트리니티항공
Изображение
Пост от 08.09.2025 02:54
1 342
0
29
[사우디 전력증강 사업에 한국 참여 가능성 높여] 대규모로 이뤄지는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의 전력증강 사업에 한국 방산업체의 참여 가능성이 커졌다. 또 우리나라와 사우디 정부 간 새로운 방산협력 논의도 시작된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석종건 청장이 지난 3~4일(현지시간) 사우디를 방문해 국방부처 주요 인사를 면담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석 청장은 사우디 국가방위부 대규모 지상장비 현대화 사업과 국방부 함정·전투기·방공망 사업에서 한국 정부와 방산업체의 대규모 현지화 방안을 제안했다. 사우디 국방부 전력증강 사업을 총괄하는 칼리드 빈 후세인 알 비야리 정무차관과 지상장비·함정·전투기·방공·인공지능(AI) 분야에 관한 양국의 폭넓은 협력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특히 정부 간 거래(G2G) 협력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방산협력 방안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m/20250908/1/ATCE_CTGR_0010020000/view.do
Пост от 08.09.2025 02:51
400
0
1
[유진투자증권_로봇/방산/조선/항공_양승윤] 👋안녕하세요 위클리에요(로봇/방산/항공/조선) *2025/09/01~09/07* 자료 URL - https://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908_B2030_syyang0901_268.pdf --------------------------------------------- [🤖로봇] - 이제는 산업 특화형 로봇이 대세 ▶️ 노란봉투법 통과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 이제는 휴머노이드와 피지컬 AI 등 기술 기대감 보다는 실제 산업에서 적용 가능한 산업 특화형 로봇 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중 🎖Must Watch Issue ▶️ 노란봉투법 효과 지속. 딥테크 로봇 외 산업 특화 로봇 분야도 관심 확대 ▶️ 휴머노이드 양산 공급이 이어지는 중국. 유비텍 500억 계약, 애스트리봇 1,000대 공급 ▶️ 홍콩 상장 로봇 기업들은 실적 성장. 한국 기업들은 정체 지속 --------------------------------------------- [🚀방산] - 잔잔하게 쏟아지는 방산 이슈 ▶️ 강력한 수주 모멘텀은 없지만 잔잔하게 계속해서 호재가 나오고 있음. 가장 기대해볼 것은 사우디 사업. 방사청장이 또 사우디에서 마케팅을 실시. 그 외 국방 예산 증가, 지정학 불안감 확대도 주목 🎖Must Watch Issue ▶️ 방사청장 또 사우디 방문. 정부 차원의 사우디 방산 사업 지원 활발 ▶️ 한국 2026년 국방 예산안 공개. 전년비 8% 증가. KF-21 등 3축 체계 집중 투자 ▶️ 폴란드 MSPO에서 홀로 돋보인 한화. 천무 유도탄 계약 등 다수 성과 --------------------------------------------- [✈️항공운송] - 8월 여객 실적 ▶️ 3분기 성수기의 마지막 달인 8월 여객 실적은 생각보다 견조했음. 올해는 추석이 10월인 만큼, 3분기 실적보다 4분기 실적에 더 기대를 가져봐야할 것. 9월 말 중국인 무비자 입국 시행도 기대 요인 🎖Must Watch Issue ▶️ 대한항공, 결국 이코노미 3-4-3 좌석 배열 변경 중단 ▶️ 강력한 공정위 조치에 동남아 괌 노선 등 노선 운영 부담 확대 ▶️ 29일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 [⚓️조선] - USTR에 이어 IMO 조치도 ▶️ 미국 USTR의 조치 효과가 약해지는 가운데, 미국이 IMO 중기 조치에 반기를 들면서 친환경 모멘텀도 희석될 가능성 제기. 단기적으로 조선 업종에서는 상선보다는 방산 관련 모멘텀 중심 접근 🎖Must Watch Issue ▶️ 미국 군함 한국 건조 추진 움직임 확대. 이번 주 첫 실무 협의 추진 ▶️ 한화오션의 해양 사고. HD현대중공업의 노조 파업 등 리스크 부각 ▶️ 한화그룹의 오스탈 인수 임박. 반대하던 창립자 퇴임하고 곧 FIRB 결정 ---------------------------------------------
Пост от 08.09.2025 02:14
388
0
0
유진 김진우 (02-368-6195) [9/5~7 국내외 주요 뉴스] (정책) 정부관리 가공용 쌀 5만톤 이내 추가 공급…원료곡 확보ㆍ수출 지원 https://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933 (정책) 계란 가격 고시 폐지하고 매월 전망…사육면적 확대 추가 대책 시행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465687?sid=101 (트렌드) 커피에 쿠키 다 즐겨도 3천원...CU ‘가성비 디저트’ 봇물 https://m.mk.co.kr/news/business/11413015 (트렌드) ‘헤이티·팝마트·미니소’ 新 홍대 나들이… 위협적인 중국 프차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800694?sid=101 (트렌드) 급성장하는 일본 ‘방재 식품’ 시장의 또 다른 기대 포인트 ‘롤링 스톡’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371 (해외) 농심 신라면, 대만 인기 라면 브랜드 '톱3' 진입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91386 (유통) '정부 개입 없다' 못 박은 국토부…인천공항 면세점 임대료 갈등 '새 국면' https://m.sedaily.com/NewsView/2GXTKXVCTP/GD01 (농산물) 올해 첫 벼 수매가 ‘kg당 1890원’···기대가 실망으로 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9783 (기타) K푸드·K뷰티 인기인데 미국 진출 기업 괜찮나…CJ제일제당·농심·한국콜마 분위기는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800589?sid=103
Пост от 08.09.2025 02:08
616
0
6
[유진투자증권] 대체투자분석팀 건설/부동산 - 美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 단속 이슈 관련 comment *현대엔지니어링이 美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공장’ 공사현장 단속으로 체류 또는 취업 자격 미비 근로자 475명 적발 - 적발된 인원 대부분은 B1, B2 단기 방문 비자나 ESTA 등 체류는 가능하지만 취업이 허용되지 않는 신분을 보유했을 것으로 추정 - 미국 정부는 자국 노동자 보호를 위해 H-1B, H-2B 등 외국인 취업 비자 발급에 연간 쿼터제를 운영 중 - 이러한 제약은 대규모 인력이 필요한 대형 프로젝트에 인력 수급 한계로 작용 *이번 사안으로 합법적 취업 자격을 갖춘 숙련 노동자의 부족과 인건비 상승 압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미국 내 대형 프로젝트 전반에서 공정 차질과 원가 상승 요인으로 확대될 가능성 존재 - 국내 건설사의 미국 공사현장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주요 건설사의 전체 매출에서 미국 비중이 비교적 크지 않다는 점에서 단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다만, 향후 미국 시장에서 인력 조달 및 관리 역량이 프로젝트 수행의 경쟁력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 (링크) https://buly.kr/All9EF2 ★컴플라이언스 검필
Пост от 08.09.2025 02:08
309
0
3
[유진투자증권] 대체투자분석팀 건설/부동산 - 「주택공급 확대방안」 발표, 시장 기대치 하회 *9/7 발표된 주택공급 확대방안은 1)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및 조기화, 2)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 3) 민간 주택공급 여건 개선에 중점 - 동시에 4) 부동산 시장 거래질서 확립, 5) 주택시장 수요관리 내실화 등 추가적인 수요 억제책을 포함 - 수도권 공공택지 추가 착공물량은 5년간 12.1만호로 제시되었으나, 단순 시행주체 변경(민간→공공)을 제외할 경우 6.8만호에 불과 - 수도권 134.9만호 공급 계획 역시 착공 기준 물량으로, 실제 입주시점과는 괴리가 존재하여, 공급 부족 문제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 *규제지역 LTV 강화(50%→40%)는 6억원 대출 한도로 영향이 제한적이나, 향후 규제지역 확대 지정 가능성을 고려한 사전적 조치로 해석 - 지난 6/2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속도는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 부족에서 기인 - 단기간 내에 공급 효과를 낼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은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 용적률 상향 및 분담금 완화 - 그러나 이번 공급대책에서 정비사업 규제 완화가 제외됨에 따라, 서울 주요 입지의 주택가격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건설사 실적에도 실질적인 효과를 주지 못할 전망 (링크) https://buly.kr/CskF00Y ★컴플라이언스 검필
1
👌 1
Пост от 08.09.2025 00:52
577
0
4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9.8] 9.5-9.7 국내외 주요 뉴스 #써밋(NASDAQ:SMMT) +9.2%, #아케소(HKG:9926) +5.1% - 써밋테라퓨틱스/아케소가 PD-1xVEGF 이중항체 이보네시맙(ivonescimab) 글로벌 3상 HARMONi의 후속 데이터에서 전체 환자군 사망위험이 22% 감소(HR 0.62–0.98, p=0.0332)한 긍정적 추세를 확인함 - 이보네시맙은 PFS 48% 개선으로 1차 목표 달성했으나, 최종 분석에서 사망위험은 21% 감소했으며 p=0.057로 통계적 유의성을 충족하지 못함 - 장기 추적에서 중국 환자 PFS 개선은 45%였으나 북미·유럽 환자는 33%로 확인되어 일관성 부족 우려 또한 남아있음 - 이보네시맙은 2L mEGFR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FDA 승인 받기 위해 글로벌 임상에서 OS 유의성을 입증해야 하며, 써밋은 후속 데이터 성숙도에 따라 승인 신청 시점을 검토할 예정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summit-global-pd-1xvegf-data-challenge-regional-consistency-claims-new-promising-survival #바이오엔텍(NASDAQ:BNTX) +8.7% #듀얼리티바이오(HKG:9606) +7.1% - 바이오엔텍/듀얼리티바이오가 HER2 ADC ‘BNT323(DB-1303)’의 캐싸일라(trastuzumab emtansine) 직접비교 중국 3상 임상 중간 분석에서 대비 1차 평가지표인 무진행생존기간(PFS) 개선을 충족했다고 밝힘 - 해당 연구는 항HER2 항체 허셉틴과 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 22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세 데이터는 아직 공개되지 않음 - 중국 내 권리를 보유한 듀얼리티바이오가 중국 품목허가 신청을 추진할 예정 - 향후 글로벌 HER2-저발현 유방암 및 자궁내막암 임상 결과를 통해 엔허투 대비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을 전망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biontechs-her2-adc-beats-roches-kadcyla-phase-3-breast-cancer-trial #대웅제약 +1.6% - 대웅제약이 중국 NMPA로부터 P-CAB 계열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펙수클루(펙수프라잔)’의 품목 허가를 획득 - 대웅제약은 펙수클루를 2026년 하반기에 중국 발매할 예정 - 중국에서는 HK이노엔의 케이캡이 판매 2년차 진입 - 펙수클루는 현재까지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대웅제약은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687 #HLB +2.8%, #HLB제약 +6.0% - FDA가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에 대해 발급했던 CRL 원문을 공개함 - 2025년 3월 수령한 CRL에서는 항서제약의 생산시설에 대한 Form 483 지적사항 해소, 안전성 업데이트(중도 탈락·사망 사례, 신규 이상반응, 해외 사용 경험 등) 제출, 라벨링 및 복약안내문 수정 등이 요구됨 - HLB는 리보세라닙 자체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지적은 없었다고 설명했으며 연내 보완자료 재제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 FDA 승인 여부는 2026년경 확인 가능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3011046642297168
Смотреть все посты